정부가 오늘(26일) 아침 32번째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합니다(개최했습니다). <br /> <br />최근 서울 평균 아파트값이 12억 원을 넘어선 가운데, 집값 상승세가 주춤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'부동산 고점론'을 내세우는 홍남기 부총리는 어제(26일) 부동산시장 안정을 정책 최우선순위에 두고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홍 부총리의 발언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홍남기 /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] <br />제가 부동산 시장 점검회의를 한 달 만에 하는 것 같습니다. 지금부터 32차 부동산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주택시장은 8월 말 이후 주택공급 조치의 가시화 그리고 금리인상과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 일련의 조치로 인한 영향이 이어지면서 그간 상승 추세가 주춤하고 시장 심리 변화 조짐이 점차 뚜렷해지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, 9월 이후 수도권 및 서울의 가격상승세가 지속적으로 둔화되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둘째 서울 아파트 실거래는 9월 이후 직전 대비 가격 보합과 하락 거래 비율이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셋째, 부동산 시장 수급 상황을 나타내는 매매수급 지수도 개선되어 지난 3월 말 수준으로 하락하고 특히 일부 민간지표의 경우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8월 셋째 주 이후 매수세가 8주 연속 둔화되며 매수자보다도 매도자가 많은 소위 매수자 우위로 재편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넷째, 향후 가격 상승 하락 여부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는 주요 기관들의 심리지표도 9월 이후 하락세로 반전되었고 오늘 발표된 한국은행의 10월 주택가격 전망 CSI도 3%포인트 하락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부동산시장 안정의 중대한 기로입니다. 가계안정 모멘텀이 본격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주택공급 속도에 대한 제고, 그리고 부동산 관련 유동성 관리에 대한 강화 그리고 시장교란 행위에 대한 근절 등 기대심리 안정을 위한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나갈 것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은 최근에 이와 같은 시장상황 변화에 대하여 점검, 평가하고 앞으로의 공급 촉진 및 투기근절 기조를 더욱 가속화하기 위하여 세 가지 안건을 상정, 논의합니다. <br /> <br />첫째 최근 주택시장 동향 점검 및 평가. 둘째, 2.4대책 1차 지정 결과 및 후보지 추가 확보 계획. 마지막으로 셋째, 투기근절대책 주요 추진 상황 및 성과를 논의합니다. 첫 번째 안건에 대해서는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02707402514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